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은 무엇일까요?
2025. 6. 3. 18:31ㆍ지역사회간호학 정보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스스로 건강을 증진시켜 나가는 과정이라는 관점!!!!!
1. 핵심 개념 구조
구분 | 설명 | 예시 |
① 개인적 특성과 경험 | 과거 행동과 개인 특성은 건강행동에 영향을 줘요 | “예전에 다이어트에 실패했었어” |
② 행동에 대한 인식과 감정 |
개인이 건강행동에 대해 느끼는 이득, 방해요소, 자기효능감 등 | “운동하면 몸이 개운하고, 나도 꾸준히 할 수 있어” |
③ 행동 결과에 대한 기대 |
타인의 영향, 상황적 조건, 의사결정 등 | “친구도 같이 헬스장 다녀서 나도 해볼래” |
2. Pender 건강증진모형 요소
구성요소 | 설명 | 예시 |
1. 개인의 특성과 경험 | 과거 행동 경험, 유전적 특성, 인구통계적 요인 등 | “예전에 헬스장 등록했지만 작심삼일로 끝났어”“엄마가 당뇨병이 있어서 나도 조심하려고 해” |
2. 인지된 이점 | 건강행동을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익에 대한 인식 | “운동하면 체중 감량도 되고 스트레스도 풀려”“금연하면 숨도 덜 차고 냄새도 안 나” |
3. 인지된 장애 | 건강행동을 방해하는 요인에 대한 인식 | “헬스장 등록하려면 돈도 들고 시간이 없어”“다이어트 식단은 맛없어서 계속 못 하겠어” |
4. 자기 효능감 | 자신이 건강행동을 성공적으로 할 수 있다는 믿음 | “이번엔 꼭 3개월 동안 꾸준히 운동할 수 있어”“내가 식단 관리도 혼자서 해낼 수 있어” |
5. 활동에 대한 감정 | 건강행동에 대한 감정적 반응 (즐거움, 불안 등) | “요가 수업 들으니까 몸도 개운하고 기분도 좋아”“운동은 너무 지루하고 고통스러워서 싫어” |
6. 대인적 영향 | 가족, 친구, 의료진 등의 지지, 모델링, 규범 | “친구가 같이 헬스장 다니자고 해서 시작했어”“의사 선생님이 꼭 하라고 권했어” |
7. 상황적 영향 | 환경적 요인, 자원의 접근성, 안전성 등 | “집 근처에 공원이 있어서 아침에 산책하기 좋아”“동네에 건강센터가 생겨서 쉽게 운동할 수 있어” |
8. 행위의지(행동의도) | 건강행동을 하려는 구체적인 계획과 결심 | “이번 달부터 매주 3번 수영장에 갈 거야”“다음 주부터 채소 위주의 식단으로 바꿀 거야” |
9. 즉각적인 요구에 따른 경쟁행동 |
건강행동을 방해하는 순간적인 유혹이나 대안 행동 | “운동 가려고 했는데 친구가 영화 보자고 해서 안 갔어”“식단 중인데 배달 음식이 땡겨서 시켰어” |
10. 건강증진행위 | 실제로 실행한 건강한 생활습관 | “매일 저녁 30분씩 빠르게 걷고 있어요”“스트레스 줄이려고 명상과 복식호흡을 매일 해요” |
3. 문제 풀어보기
1) 40세 여성 A는 최근 건강검진에서 고지혈증 진단을 받았다. 그녀는 “지난번에도 다이어트를 하다 실패했는데 이번에도 잘 모르겠어요”라고 말했지만, 건강 관련 유튜브를 보며 “운동하면 기분도 좋아지고 살도 빠질 수 있겠네”라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친구들과 함께 필라테스를 등록한 후 “나도 꾸준히 할 수 있을 것 같아요!”라고 이야기했다.
이 사례에서 "개인적 특성과 경험" 에 해당하는 내용은?
① “나도 꾸준히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② 친구들과 필라테스를 등록했다
③ “운동하면 기분도 좋아지고 살도 빠질 수 있겠네”
④ “지난번에도 다이어트를 하다 실패했는데…”
⑤ 유튜브에서 건강 정보를 본다
정답: 4번
2) 30대 여성 D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요가를 배우기로 마음먹었다. 그러나 “시간이 없고 수업료도 비싸서 못 할 것 같아요”라고 말하며 계속 망설이고 있다. 이때 D가 겪고 있는 건강행동의 저해 요인은?
① 지각된 이득
② 자기 효능감
③ 타인의 지지
④ 지각된 장애
⑤ 정서적 반응
정답: 4번
건강행동은 나의 과거, 감정, 자신감, 주변 환경과 사람들,
방해 요소들을 모두 고려해 결정되는
복합적인 과정이에요!
'지역사회간호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통계에서 보건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0) | 2025.06.09 |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 2021~2030) (4) | 2025.06.09 |
범이론적 변화단계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 (0) | 2025.06.03 |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 알아보기 (1) | 2025.06.03 |
지역사회 간호사가 알아야 할 사례 관리에 대해 알아보아요 (4)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