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시 생각해볼까요?(9)
-
『케빈에 대하여』: 지역사회간호의 놓친 골든타임
출처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BC%80%EB%B9%88%EC%97%90%20%EB%8C%80%ED%95%98%EC%97%AC 케빈에 대하여Mummy's little monster... 엄마의 작은 괴물 ... 북미 포스터 태그라인 미국 의 작가 라namu.wiki- 영화 《케빈에 대하여》(We Need to Talk About Kevin, 2011) 는 여행 작가였던 에바가 원치 않았던 임신 끝에 아들 케빈을 낳으면서 시작됩니다. 영‧유아기부터 케빈은 엄마의 애정 표현을 거부하고 동물 학대·거짓말 등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지만, 아버지 프랭클린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깁다. 사춘기에 접어든 케빈은 가족 내 갈등을 교묘히 조장하며 점점 폭력성과 조종성을 드러내고, 결국 고..
2025.06.17 -
지역사회간호사의 눈으로 다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란 무엇일까?지역사회간호사로 일하며 나는 종종 ‘정의로운 결정’이 무엇인지 고민한다. 누구에게 먼저 자원을 배분할 것인가? 자율권을 존중하면서도 공동체의 건강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런 질문들에 직면할 때마다 나는 마이클 샌델의 책 『정의란 무엇인가』를 떠올린다.샌델은 다양한 철학적 관점을 통해 정의를 해석한다.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주장하고, 칸트는 '사람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하라'고 강조한다. 그리고 샌델이 가장 관심을 두는 공동체주의는 "개인은 사회적 맥락 안에서 정의를 배운다"고 말한다.이 철학들은 우리 지역사회간호사의 활동에 어떤 의미를 줄 수 있을까?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생각해 보기1) 자율과 돌봄의 경계에서: 백신을 거..
2025.06.09 -
《애니어그램, 왜 하냐고요?》-서로 다른 내가 같이 살아가는 방법 알아보기
애니어그램(Enneagram)은 인간의 성격을 9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심리학적 성격 모델입니다."Ennea"는 그리스어로 9를 의미하고, "gram"은 도형을 뜻하며,총 9개의 성격유형이 원형 구조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1. 애니어그램 9유형 성격 유형별 특성 및 직업 번호유형명성격 핵심구체적 예시 인물 (가상/실제)일상 속 행동 예시직업 또는 조직 내 특징1번개혁가(The Reformer)원칙주의, 완벽주의유엔 평화 활동가 / 윤리 강한 교수 / 영화 ‘셜록 홈즈’의 홈즈책상 정리가 철저하며, 규칙 어기면 지적함표준 절차 준수, 정확한 업무 처리, 실수에 민감함2번조력가(The Helper)배려, 돌봄, 인정욕구간호사 어머니 / 친구의 생일을 챙기는 사람 / 영화 ‘어바웃 타임’의 ..
2025.06.08 -
“악의 평범성과 전문직 윤리 – 아이히만의 재판을 통해 본 간호사의 책임과 판단”
한나 아렌트의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아돌프 아이히만이라는 나치 관료의 재판을 통해 '악의 평범성'이라는 개념을 세상에 알렸다. 아렌트는 아이히만이 특별히 악한 괴물이 아닌,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충실히 이행하는 평범한 관료에 불과했음을 지적했다. 그는 자신의 행위를 "명령을 따랐을 뿐"이라고 변명했고, 이는 결국 자신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성찰과 책임의식의 부재로 이어졌다.그렇게 많은 죽음을 마주하고도 공무원으로서의 역할이었다고 하였으며 아이히만이 너무나 평범하고 심지어 선량한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즉 악은 특별한 사람이 아닌 자각 혹은 자성하지 않으면 누구나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평범하다는 것이다.이와 함께 살펴보면 간호사 역시 전문직으로서 이 사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이 ..
2025.06.04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돌봄 - 영화로 만나는 삶의 마지막과 간호의 의미
영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은 중년의 어머니 인희가 말기 암 선고를 받고, 가족들과 마지막 이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감동적인 작품이다. 평생 가족을 위해 헌신하며 살아온 인희의 병을 통해 가족 구성원들은 저마다 숨겨졌던 마음의 벽을 허물고 진정한 돌봄과 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이 영화는 특히 간호학과 학생들과 지역사회 간호사들에게 깊은 메시지를 전한다. 환자와 그 가족의 정서적·신체적 돌봄을 담당하는 간호사로서 우리는 단순히 의료적 중재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와 가족의 마음까지 돌봐야 하는 존재이다. 영화 속 가족들은 말기 암으로 고통받는 인희를 보면서 처음에는 당황하고 힘들어하지만, 곧 서로를 위로하며 이별을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 삶의 진정한 의미를 발견한다..
2025.06.03 -
“생존과 공공선 사이: 간호사가 직면한 딜레마”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컨테이젼(Contagion, 2011)』은 전 세계적으로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과정을 냉철한 사실주의적 시선으로 담은 영화이다.2011년에 상영한 영화는 2019년 코로나의 상황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이 영화는 갑작스러운 바이러스 출현과 감염 확산의 공포, 사회적 혼란과 갈등, 그리고 그 속에서 바이러스와 맞서는 의료진과 보건당국의 고군분투를 사실적으로 묘사한다.영화 속에서 바이러스는 홍콩에서 돌아온 한 여성으로부터 시작해 순식간에 전 세계로 확산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전 세계 의료진과 과학자들은 감염원을 추적하고 백신을 개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혼란 속에서 음모론과 가짜뉴스가 퍼지며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도 생기고, 사회적 불안과 갈등이 증폭된다. ..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