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 알아보기
2025. 6. 3. 17:21ㆍ지역사회간호학 정보
건강신념모델은 사람이 왜 건강 행동(예: 운동, 검진, 금연 등)을 실천하거나 실천하지 않는지를 설명해 주는 것으로
예방접종이나 건강검진 참여를 늘리기 위해 만든 행동 이론이다.
1. 핵심 구성요소 6가지
구성요소 | 뜻 | 쉬운 예 |
① 민감성 인식 | "나도 병에 걸릴 수 있어" | “나도 유방암에 걸릴 수 있겠네...” |
② 심각성 인식 | "그 병은 정말 무서워" | “유방암은 초기에 발견 못하면 위험하대…” |
③ 이득 인식 | "검진을 받으면 도움이 돼" | “검진 받으면 조기 발견할 수 있대!” |
④ 장애 인식 | "하지만 불편하고 귀찮아" | “검진받으려면 시간도 들고 아플지도 몰라…” |
⑤ 행동 계기 | "시작하게 하는 계기" | “병원에서 문자가 왔네, 검진 시기래” |
⑥ 자기 효능감 | "나도 할 수 있어!" | “나도 이제 병원 혼자 갈 수 있어!” |
2. 일상속에서 알아보는 예시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행동)
- 민감성 인식: “나도 성인이니까 HPV 감염 위험이 있겠지…”
- 심각성 인식: “자궁경부암은 치료 어렵고 무서운 병이래”
- 이득 인식: “백신을 맞으면 암 예방 효과가 있대!”
- 장애 인식: “비싸고 시간 내기 어려워서 고민이야”
- 행동 계기: “보건소에서 무료접종 문자 왔네”
- 자기 효능감: “예약하고 가서 나 혼자도 접종할 수 있어!”
3. 관련 문제 풀어보기
1) 30세 여성 A는 최근 유방암에 대한 뉴스 보도를 보고 불안감을 느꼈다. 그녀는 “우리 엄마도 유방암으로 고생했는데, 나도 유전이 있을지 몰라”라고 말했다. 하지만 “병원 가는 게 무섭고 시간도 없어”라며 검진을 미루고 있다. 어느 날 직장에서 무료 유방암 검진 안내문을 받고 검사를 예약하였다. 이 사례에서 '장애 인식'에 해당하는 A의 말은?
① “우리 엄마도 유방암으로 고생했는데…”
② “병원 가는 게 무섭고 시간도 없어”
③ “뉴스를 보고 불안했어”
④ “무료 검진 안내문을 받았어”
⑤ “예약하고 가기로 했어”
정답: 2번
2)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독감 예방접종을 권유하고자 한다. 건강신념모델에 따라 대상자의 이득 인식을 높이기 위한 간호사의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장애 인식
② 행동 계기
③ 이득 인식
④ 심각성 인식
⑤ 자기 효능감
정답: 2번
"사람은 병에 걸릴 가능성과 심각성을 느끼고, 예방이 도움이 된다고 믿고, 방해요인이 적으며,
실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을 때 건강행동을 해요!"
'지역사회간호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은 무엇일까요? (6) | 2025.06.03 |
---|---|
범이론적 변화단계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 (0) | 2025.06.03 |
지역사회 간호사가 알아야 할 사례 관리에 대해 알아보아요 (4) | 2025.06.03 |
주민이 주도하는 건강 변화의 시작, PATCH (0) | 2025.05.29 |
가이거와 다비드히자르 문화사정모델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