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30, 2021~2030)
2025. 6. 9. 22:16ㆍ지역사회간호학 정보
"헬스프랜(Health Plan) 2030"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가 수립한 제7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입니다. 이 계획은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우리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가 차원의 중장기 전략으로, 헬스플랜 2010, 2020에 이어 세 번째 입니다.
1. 헬스프랜(Health Plan) 2030 개요
항목 | 내용 |
계획명 | 제7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Health Plan 2030) |
기간 | 2021년 ~ 2030년 |
비전 | "모두가 함께 건강한 사회" |
목표 | 건강수명 연장 및 건강 형평성 제고 |
핵심 가치 | 건강형평성, 전 생애 건강관리, 사회적 연대 |
2. 성과지표 비교
지표 | 2018년 기준 | 2030년 목표 |
건강수명 | 70.4세 | 73.3세 |
흡연율 (성인 남성) | 36.7% | 25% 이하 |
고위험 음주율 | 18.3% | 13% 이하 |
비만율 | 34.6% | 30% 이하 |
3. 헬스프랜 2020 vs 2030 차이점 비교
항목 | 헬스프랜 2020 (6차) | 헬스프랜 2030 (7차) |
기간 | 2011~2020 | 2021~2030 |
비전 | 건강한 국민, 함께하는 사회 | 모두가 함께 건강한 사회 |
핵심 목표 | 건강수명 연장 | 건강수명 연장 + 건강형평성 제고 |
주요 가치 | 건강형평성, 생애주기, 과학적 기반 | 건강형평성, 전 생애 건강관리, 사회적 연대 |
건강수명 목표 | 75세까지 연장 (실현되지 못함) | 73.3세까지 연장 (보다 현실적 접근) |
추진 체계 | 4개 영역, 25개 중점과제 | 6대 추진 분야 중심의 통합 관리 |
형평성 강조 | 상대적으로 낮음 | 소득계층 간 건강수명 격차 감소 목표 명시 |
정책 기조 | 정부 주도형 정책 | 지역사회와 협력하는 참여형 건강정책 |
접근방식 |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SDoH)에 대한 대응 강화 |
4. 헬스프랜이 해야 할 일
전략 영역 | 구체적 방향 |
건강수명 | 기대수명과 격차 축소, 질 높은 노후 보장 |
형평성 | 소득·지역 간 격차 해소 |
예방 | 만성질환 조기 진단 및 관리 |
통합성 | 돌봄-보건-복지 연계 |
참여 | 지역주민, 자치단체, 민간 협력 강화 |
5.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한 지역사회 활동
역할 | 설명 |
1. 옹호자 (Advocate) |
- 취약계층(독거노인, 장애인, 이주민 등)의 건강권 보호 - 보건복지 정책에 이들의 요구가 반영되도록 정책 건의 |
2. 접근성 보장자 (Access Enabler) |
- 의료기관 접근 어려운 주민에게 건강서비스 연결- 외국인, 고립가구 대상 방문간호 확대 |
3. 교육자 (Educator) |
- 건강문해력 낮은 주민 대상 건강정보 교육 - 행동변화를 유도하는 건강생활실천 교육 |
4. 조정자 (Coordinator) |
- 다양한 지역사회 자원(복지관, 종교단체, NGO) 연계 - 사례관리 기반 맞춤형 서비스 조정 |
5. 모니터 및 평가자 | - 지역건강 수준과 형평성 지표 지속적 감시 - 개선 성과 측정 및 피드백 제공 |
6. 지역사회간호사가 건강형평성을 높인 실제 활동 예
사례 | 설명 |
A시 방문건강관리 사업 | 독거노인과 차상위계층 대상으로 가정 방문, 건강진단 및 약물관리. 낙상예방 운동도 병행 |
다문화가정 건강교육 프로그램 | 다문화가정 여성 대상 산전·산후관리 교육, 자녀 건강교육 및 심리상담 연계 |
고혈압·당뇨 집중관리 시범사업 | 의료취약지역 주민에게 정기 건강교육, 상담, 보건소-의료기관 연계로 치료 지속성 강화 |
“건강형평성은 ‘공평한 기회’로서의 건강을 의미하며,
지역사회간호사는 그 불평등의 현장에서 실천적 해결자입니다.”
'지역사회간호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 건강지표 2. 모성관련 지표 알아보기 (5) | 2025.06.12 |
---|---|
보건통계에서 보건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0) | 2025.06.09 |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은 무엇일까요? (6) | 2025.06.03 |
범이론적 변화단계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 (0) | 2025.06.03 |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 알아보기 (1)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