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관련된 지표 - 부양비 알아보기

2025. 6. 12. 22:47지역사회간호학 정보

부양비 관련 이미지

 

1. 유년부양비 (Youth Dependency Ratio)

  • 아동·청소년(0–14세) 인구가 많을수록 교육·보육 등 사회투자비용이 증가
  • 출산율 변화 추이와 맞물려 국가의 미래 인력 확보 전망을 가늠하는 척도

2. 노년부양비 (Old-age Dependency Ratio)

  •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이 높아지면 연금·의료·복지 비용 부담이 커짐
  • 초고령사회 진입 여부와 장기요양, 노인돌봄 정책 수립의 중요 지표

3. 총부양비 (Total Dependency Ratio)

  • 생산가능인구 1명이 부양해야 하는 전체(아동 + 노인) 인구 규모를 종합적으로 보여줌
  • 한 국가 또는 지역의 ‘경제활동 인구 부담능력’을 파악할 때 가장 널리 쓰이는 지표
지표 계산식 의미
유년
부양비
생산연령인구(1564)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014세 인구 수
노년
부양비
생산연령인구(1564)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인구 수

부양비


생산연령인구(1564)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전체 비생산연령인구(014+ 65세 이상)

 

 

※ 활용 예시

예를 들어, 어떤 나라의 인구 구조가 다음과 같다고 할 때:

  • 0–14세 인구: 10,000명
  • 15–64세 인구: 40,000명
  • 65세 이상 인구: 8,000명
유년부양비 = 10,000 / 40,000 × 100 = 25.0
노년부양비 = 8,000 / 40,000 × 100 = 20.0
총부양비 = 25.0 + 20.0 = 45.0

 

※  정책적 함의

높은 유년부양비 → 보육·교육 지원 확대, 청년 취업·주거 정책
높은 노년부양비 → 연금 재정 안정화, 건강·돌봄 서비스 강화
총부양비의 추이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세제·복지제도 개편 필요성 판단

 

“부양비를 알지 못하면 돌봄은 맹목이고, 알면 돌봄은 지혜다.”